[편집자주] 어릴 적부터 부모님들은 매일 같이 공부하라고 잔소리하셨습니다. 하지만 현실을 생각해보면 왜 배워야 하는지 도무지 알 수 없습니다. 학문의 전당이라는…
-
[뉴스클리핑]21호
최저임금 협상 결렬 지난 27일 최저임금위원회가 최저임금을 의결하지 못하고 법정 시한을 넘겼습니다. 매년 반복되는 일이기도 하지만 이번에도 노동계와 경영계는 의견…
-
[문화연대 동향]21호
1. 정기용건축 기념강좌 <좋은 건축은 좋은 사회를 꿈꾼다> 건축은 생명을 담는 그릇이며, 문화의 고갱이입니다. 또한 건축은 사회의 영향을 받고 사회를…
-
[책다방]봉기, 새로운 방식의 삶을 만드는 시적 힘(21호)
봉기, 새로운 방식의 삶을 만드는 시적 힘 – 프랑크 베라르디[비포]의 『봉기』- 김영철(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봉기』는 이탈리아 자율주의 전통 속에서…
-
[이런저런무대연구소 일지]음악회장의 풍경을 담은 소설, 이효석의 <벽공무한>(21호)
음악회장의 풍경을 담은 소설, 이효석의 <벽공무한> 송현민(음악평론가, 음악문화연구자)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작가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소설가 이효석. <벽공무한>은…
-
[스크린과 종이] 영화의 모호함(21호)
영화의 모호함 강신유 영화는 흔히 창문으로 비유된다. 토마스 앨새서의 ‘영화이론’에도 자세히 정리되어있듯 영화와 창은 짧고도 긴 영화사를 따라 계속해서 밀접한…
-
[스포츠로 사유하기]축구의 나라 브라질, 월드컵을 반대하다(21호)
축구의 나라 브라질, 월드컵을 반대하다 정재영 (문화연대 활동가) 명실상부한 축구의 나라 브라질. 브라질 축구를 설명하기 위해 화려한 미사여구를 붙일 필요는…
-
[이동연의 문화읽기] 은밀하게, 위대하게 스크린을 독점한 영화(21호)
은밀하게, 위대하게 스크린을 독점한 영화 이동연(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개봉 15일 만에 55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한 <은밀하게, 위대하게>의 스크린 독점을 놓고 논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