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파견 이주민, 파독 광부와 간호사 권금상/ 사람숲다문화사회연구소 대표 (인터넷신문 ‘우리아이뉴스’ 편집장) 올해는 한국과 독일 수교 130년을 맞는다. 아울러 광부와 간호사…
-
[현장스케치]예술 LOVE 정치, 정치 LOVE 예술(18호)
예술 LOVE 정치, 정치 LOVE 예술 청년유니온 1기 위원장 김영경 5월9일은 표현의 자유 확대를 위한 페스티벌이 있은 날이었다. 이 날의…
-
[인터뷰]김보성 마포문화재단 대표이사(18호)
김보성 마포문화재단 대표이사 “문화예술행정 분야의 민간전문인력 양성을 위하여 보다 세심하게 고민해야” 이원재 / 문화연구자 김보성 마포문화재단 대표이사의 취임 소식을…
-
[특집]한국사회와 반자본주의(사회주의) 대중화 전략*(18호)
[편집자주]2013년 5월10일부터 3일간 6회<맑스코뮤날레>가 “세계자본주의의 위기와 좌파의 대안”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자본주의의 위기’는 그동안 마르크스주의자들이 꾸준히 다뤄왔던 주제였습니다. 또한 2007년 시작된…
-
[이미,知] 17호
“박영호 자본의 Cort, 1960년부터 53년째 변함없이 죽음의 기타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제, No Cort 하세요.” 글+이미지 : The6thFinger
-
[뉴스클리핑]17호
‘천안함 프로젝트’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 지난주에 있었던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천안함 프로젝트>에 대해서 해군은 불필요한 논란을 야기시킨다는 이유로 법원에 상영금지가처분신청을 내는…
-
[문화연대 동향]17호
[문화연대 동향]17호 1. 표현의 자유 확대를 위한 페스티벌 “불온한 예술들” http://culturalaction.jinbo.net/xe/147870#0 최근 예술의 정치적 표현에 대한 법적인 규제 사례가…
-
[책다방] 금융자본주의의 폭력에 맞서 자본의 사회화로 (17호)
금융자본주의의 폭력에 맞서 자본의 사회화로 – 크리스티안 마라찌의『금융자본주의의 폭력』을 읽고 엄진희 (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오늘날 실물 경제와 금융 경제는 더…
-
7호 [이런저런무대연구소 일지] 나는 현대무용은 싫다. 그런데 안은미는 좋다. (17호)
나는 현대무용은 싫다. 그런데 안은미는 좋다. 배여민 (이런저런무대연구소 연구원) 나는 개인적으로 현대무용을 싫어한다. 아니 그 춤을 업으로 삼은 사람들을 싫어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