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소치올림픽에서 ‘빅토르 안’이 빙판을 평정하자, 대중들의 시선은 곧바로 곪디 곪아온 체육계의 문제점으로 향했습니다. 짬짜미와 승부조작, 심판매수, 파벌문제 등. 대통령까지 나섰으니 곧…
-
[특집]소치올림픽과 빅토르 안, 그리고 한국 체육계의 문제점에 대하여(33호)
[편집자주] 소치올림픽에서 ‘빅토르 안’이 빙판을 평정하자, 대중들의 시선은 곧바로 곪디 곪아온 체육계의 문제점으로 향했습니다. 짬짜미와 승부조작, 심판매수, 파벌문제 등. 대통령까지…
-
[사회적인 것들]사회적경제를 둘러싼 동상이몽(32호)
[사회적인 것들]32호 사회적경제를 둘러싼 동상이몽 양기민 / 문화사회연구소 연구원 최근 ‘짝’의 한 출연자 사례로 이야기를 시작하려 한다. 골드미스 특집(2014년 2월…
-
[인터뷰:연남동 사람들]책은 사회를 바꾸는 힘, 알마출판사 정혜인 대표이사(32호)
[인터뷰:연남동 사람들]32호 책은 사회를 바꾸는 힘, 알마출판사 정혜인 대표이사 인터뷰 정리 : 최준영 / 문화연대 활동가 문화연대가 연남동 시대를 맞았습니다.…
-
[현장스케치]나는 왜 또 밀양 희망버스를 탔을까(32호)
[현장스케치]32호 나는 왜 또 밀양 희망버스를 탔을까 김송희 어릴 적에 나는 떳떳하게 살아가는 게 어려운 일일 거라고는 생각도 못했는데,…
-
[특집]시민 주체화 과정을 통한 문화자치 운동을 제안하며(32호)
[편집자주] <문화빵>의 이번 특집은 ‘문화운동의 미래를 전망하다’입니다. 보수정부의 장기 집권화, 문화/예술의 국가제도화 등이 가속화되는 현실 속에서 문화운동을 둘러 싼 다양한…
-
[특집]’개입’과 ‘생성’: 대안 문화정책을 위한 이중 전략(32호)
[편집자주] <문화빵>의 이번 특집은 ‘문화운동의 미래를 전망하다’입니다. 보수정부의 장기 집권화, 문화/예술의 국가제도화 등이 가속화되는 현실 속에서 문화운동을 둘러 싼 다양한…
-
[특집]사회운동의 주체 형성 그리고 문화운동의 새로운 연대 전략(32호)
[편집자주] <문화빵>의 이번 특집은 ‘문화운동의 미래를 전망하다’입니다. 보수정부의 장기 집권화, 문화/예술의 국가제도화 등이 가속화되는 현실 속에서 문화운동을 둘러 싼 다양한…
-
문화빵 RELOADED
문화빵 RELOADED 문화빵 편집위원회 2012년 9월 18일, ‘문화연대 뉴스레터 문화빵’ 창간호가 탄생했습니다. 이후 문화빵은 15개월 동안 격주로 발행되며 다양한 문화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