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지 구축으로 자본을 넘어서기 안태호(문화기획자) 현대문명의 영감어린 비판자 이반 일리치는 1982년 일본 도코에서 열린 ‘빼앗긴 공용, 들판과 고요’라는 제목의 강연에서 흥미로운 이야기를…
-
[JPG를 이해하기 위하여]영원히 고통 받는(42호)
영원히 고통 받는 임효진 (reykjavik59@gmail.com) 요즘 인터넷에서는 유행하는 말로 ‘영원히 고통 받는 OO’ 식의 문장이 자주 눈에 띈다. 대게는 짤방(이미지)과…
-
[청개구리깡총]옥상 실험실 – 에너지 더부살이 제작 후기(42호)
옥상 실험실 – 에너지 더부살이 제작 후기 청개구리 제작소 지난 5월 ‘옥상 실험실’에서 첫 번째 ‘에너지 더부살이’ 실험(워크숍)을 진행했다. 옥상실험실은…
-
[문화정책스코프] 자본과 기업을 위한 문체부의 규제개혁 계획(42호)
자본과 기업을 위한 문체부의 규제개혁 계획 최혁규/문화연대 지난 6월 23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세월호 참사와 지방선거로 잠시 중단되었던 규제개혁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개각…
-
[이종임의 미디어읽기]분노의 공감, 행동으로 실천하다 -축구팬들의 ‘엿투척’ 사건을 통해 바라본 대한민국의 현실(42호)
분노의 공감, 행동으로 실천하다 – 축구팬들의 ‘엿투척’ 사건을 통해 바라본 대한민국의 현실 이종임 (문화연대 미디어 센터 운영위원) 지난 6월은…
-
[양기민의 사회적인것들]일베는 사회적인가(42호)
일베는 사회적인가 양기민 / 문화사회연구소 연구원 일베는 사회악 제목을 보고 클릭했을 사람들에게 미리 양해 말씀을 드린다. 이 원고는 일베(일간 베스트…
-
[현장스케치]예술행동네트워크의 ‘행동하는 기억, 4·16’에 참여하다(42호)
예술행동네트워크의 ‘행동하는 기억, 4·16’에 참여하다 정원옥/문화연대 집행위원 6월 21일 토요일, 세월호 참사 66일째였던 날. 페이스북을 통해 예술행동네트워크의 ‘행동하는 기억 4·16’이라는…
-
[특집]참사는 여전히 진행중이다 ; 3.11 이후 재난에 대응하는 일본 공연예술계 다시보기(42호)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78일이 지났습니다. <문화빵> 42호 특집은 세월호 참사와 한국의 재난자본주의, 그리고 재난에 대응하는 예술행동의 사례를 돌아보는 꼭지로…
-
[특집]한국적 재난자본주의의 세 가지 특이성(42호)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78일이 지났습니다. <문화빵> 42호 특집은 세월호 참사와 한국의 재난자본주의, 그리고 재난에 대응하는 예술행동의 사례를 돌아보는 꼭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