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서울 성소수자 자긍심 행진에 참여한 연분홍치마의 이야기 6월 11일 서울시내 한복판에서 성소수자들과 성소수자 인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목청 높여 차별과…
-
‘비정규노동자의 집 꿀잠’ 창립총회
‘비정규 노동자의 집’은 투쟁하는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로, 소통의 장소로, 문화적 접근을 위한 교육의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는 형태의 실질적인 집이다. 오래된…
-
국가보안법이 살아 있는데, 누가 민주주의를 말하는가?
45년 해방과 함께 찾아온 분단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고착화된다. 분단 70여년이 넘은 지금도 남과 북으로 나눠진 이 한반도 내 체제는 변하지…
-
백석 그리고 권리장전
“벗! 침묵을 깨치라. 눈부신 광채를 뿌릴 벗의 붓이 미제와 군사 깡패들에게 내리치는 수백, 수천의 비수의 선봉이기를 나는 바란다. 조국은 이것을…
-
런던 도시재생 탐험기 ④ 도시재생은 “시간”이라는 이름의 “인내심”을 필요로 한다 _ 킹스크로스 도시재생 사례
[편집자주] 이원재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이 런던의 도시재생 정책과 사례를 연속기획으로 소개합니다. 코인스트리트의 주민 대안개발 사례, 런던 최대의 도시재생 사업 킹스크로스…
-
6월 둘째주, ‘문화빵’입니다.
.바뀌어야 할 세상, 바꾸고 싶은 세상 일이 많은 탓일까요. [세상을 바꾸는 현장]에 4개의 글이 실렸습니다. 비정규직없는 세상만들기 박점규 집행위원은 ‘지상에서…
-
6월 둘째주 문화연대 주간일정입니다.
6월 7일(화) 18:30 콜트콜텍 화요문화제 (여의도 농성장) 6월 9일(목) 10:30 평창동계올림픽 개폐막식장 착공중단 촉구 기자회견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 서울사무소 앞) 6월 9일(목)…
-
[논평] 개문발차한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의 지난 1년을 돌아봄
2014년 12월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올림픽 ‘아젠다 2020’을 발표한 직후, 평창동계올림픽을 준비하고 있던 대한민국은 매우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었다. IOC…
-
[동영상] 평창 동계올림픽 개폐막장 착공 전면 재검토 촉구 기자회견
예산낭비에 사후활용방안도 없는, 평창올림픽 개폐막식장 착공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 국민 70%의 분산개최 찬성여론을 뒤로한 채, 단독개최 뿐임을 선언하며 앞으로만 내달리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