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평창 동계올림픽 개폐막장 착공 전면 재검토 촉구 기자회견

2016년 6월 9일culturalaction

예산낭비에 사후활용방안도 없는,
평창올림픽 개폐막식장 착공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

국민 70%의 분산개최 찬성여론을 뒤로한 채, 단독개최 뿐임을 선언하며 앞으로만 내달리던 평창동계올림픽이 심각한 위기에 봉착했다. 그것도 여러 곳에서. 올림픽 이후 강원도가 짋어져야 할 엄청난 규모의 부채와 사후활용방안 없이 무작정 짓고 있는 올림픽 경기장에 대한 대책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최근 한국체육대학에 운영권을 넘기기로 한 슬라이딩 센터의 경우, MOU를 체결하는 자리에서 정부의 한 관료가 슬라이딩 센터의 유지비용과 관련해 정부의 지원은 전혀 없을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다고 한다. 떠넘기기 식의 무능행정의 전형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올림픽 개최까지 채 2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조직위원장이 사퇴하고 체육 관련 전문성이 있다고 여겨지지 않는 이희범 전 산자부장관이 새롭게 조직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최근 들어 전격적으로 드러난 개폐막식장 착공과 관련한 문제는 또 어떠한가. 최초 IOC에 제출한 유치신청서에 따르면, 개폐막식장은 알펜시아 리조트에 건설될 스키점프장의 관중석을 증축하여 활용하기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후 강원도는 법률이 정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4만석 규모의 객석수 등을 이유로 평창군 횡계리에 개폐막식장을 신축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하였고, 이 바람에 총 예산이 1,400억원으로 증가하고 말았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현재 개폐막식장은 터파기공사가 진행 중인데 개폐막식의 총연출을 맡은 한 예술인의 요구에 의해 개폐막식장의 형태가 오각형으로 바뀌는 설계변경까지 거치고 있는 상황이다. 자칫 1,400억원 이상의 예산이 들어갈 수도 있는 것이다.

평창동계올림픽 개폐막식장은 경기장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 패럴림픽 개폐막식을 포함하더라도 3시간짜리 행사 단 네 번을 위해 지어지는 시설이다. 게다가 사각형에서 오각형으로 설계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이미 사각형으로 땅을 판 곳을 일부 메우는 공사를 해야 하고, 늘어난 공사비용을 줄인답시고 객석 규모도 4만석에서 3만5천석으로 줄인다고 한다. 그렇다면 기존 계획대로 스키점프장의 관중석 증축만으로도 충분한 것 아닌가. 처음 유치신청서를 기준으로 한다면, 굳이 짓지 않아도 될 시설에 총 1,4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형국이다. 졸속행정, 무능행정, 삽질행정의 최고봉을 우리는 올림픽 개폐막식장 건설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14년 12월, IOC는 ‘아젠다 2020’을 발표하면서 스스로 변화의 목소리를 내었다. IOC 스스로가 ‘단일도시 개최’ 원칙을 풀고 여러 도시, 여러 국가에서 올림픽의 분산 개최가 가능하다고 제안한 것이다. 이는 늘어나는 재정부담과 경기장 및 관련 시설의 사후활용방안 문제 등으로 인해 많은 도시들이 올림픽 개최를 꺼리고 있는 것에 대한 고육지책에 가깝다. 하지만 우리는 ‘아젠다 2020’ 발표 불과 일주일 뒤, 박근혜 대통령이 분산개최 불가를 천명하면서 올림픽 개최의 후유증을 최소화할 기회를 날려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이후에 남은 것은, 이번 개폐막식장 건설 관련 사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졸속행정, 무능행정, 삽질행정으로 인한 세금낭비와 앞으로 찾아올 재앙이다.

조직위원회와 강원도는 지금이라도 개폐막식장의 신축 및 설계변경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거듭된 설계변경으로 증가한 사업비와 3만5천석 규모로 줄어든 객석 규모라면 차라리 애초 유치신청서의 계획대로 스키점프장의 시설을 활용하는 것이 더 나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지금의 계획은 건설과정과 비용의 측면에서도, 사후활용방안의 측면에서도 무능행정과 예산낭비의 사례가 될 뿐이다. 이대로라면 개폐막식장 건설의 대가를 꽤 오랫동안 치러야 할 것이다. 조직위원회와 강원도의 상식적인 재검토 결정을 촉구하는 바이다.

2016년 6월 9일(목)
녹색연합, 문화연대, 스포츠문화연구소, 체육시민연대

Leave a comment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ev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