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아 / 문화연대 7개 마을 9개 동의 컨테이너 작업은 많은 고민이 필요했고 많은 아이디어를 모아야 했다. 컨테이너 벽면은 총…
-
[문화빵] 추위의 한가운데에서 안녕들 하십니까?
겨울의 한가운데에서 다들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연일 기록을 경신했다고 이야기하는 뉴스를 접하며 전주와 목동에 있는 고공농성장을 생각합니다. 다들 안녕들…
-
[스포츠로 사유하기]폭력의 조건(19호)
[스포츠로 사유하기] 19호 폭력의 조건 정재영 (체육문화위원회 활동가) 빅토르 위고는 <레미제라블>에서 미리엘 주교의 입을 빌려 이렇게 말한다.…
-
[문화빵] 끝나지 않은 싸움 ; 용산참사, 블랙리스트, 평창동계올림픽
월요일 오전부터 유쾌하지 않은 소식을 전했습니다.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 문화연대 기부금 현황이 조회되고 있지 않습니다”라는. 이유는 파악 중이지만, 어찌되었든 관련…
-
[연재32] “인권을 지키는 경찰을 원해요” – 밀양할매들을 위한 작은 퍼포먼스
신유아 / 문화연대 밀양 희망버스를 타고 내려가 너른 벌판에서 작업한 이후 마음 한켠에 부채감이 남아있었다. SNS에서는 연일 밀양 어르신들의…
-
[문화빵] 달려라, 문화연대
문화연대 사무처장 최준영입니다. 북한의 올림픽 참여가 결정되면서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조금은 높아졌습니다. 자칫 ‘뭐 하나 남는 것 없는’ 행사가…
-
[연재31] 밀양 넓은 벌판위에 바람을 가르는 붓 소리 – 밀양 희망버스와 <밀양의 얼굴들>
신유아 / 문화연대 2013년 가을,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들의 대한문 투쟁은 출구 없는 희망으로 버티고 있었다. 그 옆에 돗자리를 깔고 앉아…
-
평창동계올림픽 반대 성화봉송 “니가싼똥, 니가치워”, 2018/1/13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이 한달도 채남지 않았습니다. 최근 북한의 올림픽 참가 결정으로 평화올림픽으로서의 가능성이 열렸다는 주장과 함께, 올림픽의 성공개최를 위해 전국가적인…
-
블랙리스트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컨퍼런스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 제도개선소위원회>에서는 2017년 7월 31일부터 위원회 진상조사 활동 분석, 분야별 현장토론회를 통한 의견 수렴, 현안분석을 위한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