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문화정책제안 토론회 “지역분권 시대, 문화정책 새로운 패러다임을 상상하다”가 2018년 4월 17일에 진행됐습니다. 이날 토론회에는 많은 분들이 함께 참여해주셔서,…
-
<문화연대 문화정책뉴스 주간브리핑 : 4월 셋째주 소식>
1.게임 내 메갈찾기는 ‘배제’인가? 소비자운동인가? 온라인의 남성 게임 유저들이 페미니즘과 관련있다고 판단되는 원화가 또는 성우의 작품, 목소리를 게임에서 배제시키기 위한…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문화정책제안 토론회>지역분권 시대, 문화정책 새로운 패러다임을 상상하다.
지역분권 시대, 문화정책 새로운 패러다임을 상상하다. 오는 4월 17일 화요일 13시부터 청년문화공간JU(구 가톨릭 청년회관)에서는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주최로 ‘<제7회 전국동시 지방선거…
-
<문화연대 문화정책뉴스 주간브리핑 : 4월 둘째주 소식>
1.‘청년’과 ‘여성’사이에서 이중고 겪는 ‘청년여성’ 일자리 대책 정부가 발표한 ‘청년 일자리 대책’에 ‘청년여성’을 위한 대책이 보이지 않는다. 청년여성은 노동시장에서 여성이자…
-
[문화정책센터 토론회리뷰06호]’생활문화 삶의 안녕을 묻다!'(2018.03.29.)
생활문화는 일상적이거나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문화활동을 일컫는다.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이 제정된 후 다양한 정책이 실행되고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른 요구라고 볼 수…
-
<문화연대 문화정책뉴스 주간브리핑 : 4월 첫째주 소식>
1. 게임 과몰입, ‘치료’이전에 원인 분석부터 게임 과몰입을 예방하고 진단, 치유까지 한 번에 제공받을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가 이르면 내달…
-
기타를 만들던 해고노동자들의 11년 투쟁 ‘NO CORT! 11년의 투쟁’
기타를 만들던 해고노동자들의 11년 투쟁 ‘NO CORT! 11년의 투쟁’ 4월 9일부터~4월 19일까지 11일간의 프로젝트 수신 : 각 언론사 정치·사회·문화 담당…
-
SNS를 통한 사상검증의 일상화, 젠더 갈등을 더욱 부추기다- IMC게임즈의 페미니즘 사상검증 사건을 중심으로
이종임 / 문화연대 집행위원 사회관계망서비스(이하 SNS)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던 시절,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들에게는 이런 ‘말’이 돌았었다. 회사에서 지원자의 SNS를…
-
[문화정책센터 토론회리뷰05호]’언론의 미투 보도, 그 바람직한 방향'(2018.03.23.)
소셜 미디어에서의 해시태그 캠페인이었던 #MeToo가 한국에서는 현재, ‘운동’과 ‘혁명’이라 불리며 피해자 그리고 생존자들의 목소리로써 성폭력 실상을 고발하고 있다. 과거에도 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