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다양한 가족, 사는대로 길을 내기(38호)

2014년 5월 9일culturalaction
[편집자주]5월은 어린이날, 어버이날 등이 있는 ‘가정의 달’입니다. ‘가정의 달’이라는 언어는 마치 가정이 꼭 있어야 하는 것처럼, 그래서 가족을 무조건적으로 사랑하고 보호해야 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합니다. 이번 문화빵 38호에서는  1인가구가 늘어나고 있는 시대에 ‘가족’이란 무엇인지, 다양한 가족과 관계의 형태, 그리고 어떤 관계와 공동체가 필요한지를 다루었습니다. 아직도 은연중에 가지고 있을지 모를 ‘정상가족’에 대한 통념을 돌아보고, 기존의 가족담론에 갇히지 않는 ‘관계’란 무엇인지, 그리고 억압적이지 않은 ‘관계’를 위해, 공동체에서 필요한 윤리(들)_돌봄과 배려_는 무엇인지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① 가족 내에서 모든 사람은 행복한가? 가족 외부의 사람은 모두 불행한가?_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② 보호 대신 ‘돌봄과 배려의 윤리-공동체’를 위하여_이종찬(문화사회연구소 연구원)
③ 다양한 가족, 사는대로 길을 내기_더지(가족구성권연구모임)

다양한 가족, 사는대로 길을 내기

더지 / 가족구성권연구모임

huwomism@naver.com

내일 아침, 잠에서 깨었을 때 우리들의 집이 옆으로 누워버렸다면 우리는 어디로 갈 수 있을까? 복도는 수직의 낭떠러지가 되고 계단이 수평으로 누워버린다면, 위아래를 오르내리고 복도를 걸어 이웃집으로 갈 수 있었던 통로와 계단은 순식간에 아무데도 갈 수 없는 무력한 공간이 되어버린다. 옆으로 기울어가는 세월호를 보며 그런 생각을 했다.
대개 아빠‧엄마가 낳고 기른 자녀가 어른이 되어, 부모를 부양하고 또 결혼하여 아이를 낳아 기르는 모습을 평범한 삶이라 여긴다. 하지만 부모가 없거나 관계가 단절되었다면, 홀로 아이를 키운다면, 결혼을 하지 않는다면, 동성애자이기 때문에 결혼을 선택할 수도 없다면 그런 ‘평범한’ 삶 대신 비범한 삶으로 걸어나가게 된다. ‘정상가족’이라는 이상으로 짜여진 통념과 제도들은 그 길을 저절로 터주지 않는다. 누군가에게 그리고 점점 많은 사람들에게 가족 통념과 제도는 소용없는 틀에 지나지 않는, 옆으로 누운 집과 같아지고 있다.

“엄마는 신혼여행 갔고 아빠는 출장갔어.” 

인기리에 방영한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서, 강남에 사는 부잣집 아들이자 대학 야구 선수인 ‘칠봉’이가 전국 각지에서 ‘신촌하숙’으로 모여든 친구들에게 아무렇지 않게 말한다. “엄마는 신혼여행 갔고 아빠는 출장갔어.” 귀로는 들었으나 이해되지 않는 친구들은 “아부지가 출장갔다가 신혼여행가시나비지….”라고 한다. 칠봉이는 부모님이 이혼했고 엄마는 재혼하신 거라고 설명한다. 짐짓 놀란 친구들 사이에 정적이 흐르다 갑자기 ‘와, 역시 서울이다’, ‘사이즈가 다르다’, ‘우리 고향에서는 상상도 못한다’ 등 탄성이 나온다. 그 모습에 웃음이 나온다.
이혼률이 높다하고, 또 우리 주변에서 이혼‧재혼한 이야기를 찾기는 어렵지 않다. 그러나 여전히 “엄마는 신혼여행 갔고 아빠는 출장갔어”라는 말을 단번에 바로 이해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다양한 가족’이라는 것은 여전히 주변적 가족이며 소수의 가족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나 자신이 이혼하여 홀로 자식을 키우고 있다해도 아이의 학교 선생님이, 자주가는 약국의 약사가, 아이의 단짝 친구 엄마가 그럴 것이라 쉽게 가정하지 못한다. ‘정상가족’은 나도 모르는 사이에 평범한 삶으로 가정해버리는 그 무언가이다.
이전에 온라인으로 학자금 대출을 신청할 때, 아주 작은 불편함을 경험했다. 아버지, 어머니의 주민등록번호와 주소, 연락처를 적어야 신청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게 되어있었던 것이다. 오래 전에 어머니와 이혼하고 관계가 단절된 아버지의 소재를 알 도리가 없었다. 가족관계증명서를 떼어 아버지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주소와 연락처는 허위로 적어넣었다. 결국 무리없이 대출을 받을 수 있었던 안도감덕분에, 섭섭한 마음은 금새 떨쳐내었다.
예술을 전공한 한 분과 이야기를 나누다, 나는 초면에 “부모님이 돈이 많았나보네요”라고 농을 던졌다. 특별한 반응이 없어 긍정한 것으로 받아들였으나, 후에 피해자 쉼터에서 생활하는 분이었다는 걸 알고 얼굴이 다 빨개졌다. ‘정상가족’이라는 통념은 유용한 삶의 지식일까. 사는대로 생각을 터나가는 것이 왜 이리도 어려울까.
초등학교 때 교과서에서 본 재미있는 예가 생각난다. 대강 이런 것이었다.
철수가 다쳐서 아버지와 함께 병원에 갔는데 의사가 철수 아버지에게 말했다. “여보, 웬일이야?” 철수 아버지와 의사의 관계는 무엇일까.
의사는 철수의 어머니였고, 이를 통해 ‘의사는 남성의 일, 간호사는 여성의 일’이라는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해 의문을 던지는 내용이었다.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 것을 보면, 내 생각을 변화시킨 훌륭한 질문으로 남아있는 듯하다. 그러나 이 질문과 답은 다른 상상력을 희생한다. 철수 아버지의 아내가 반드시 철수의 어머니는 아닐 수 있다는 상상. 또 남성과 남성이 부부가 될 수는 없을까라는 상상. 둘러보면, 이미 누군가에게는 현실인, 그 현실에 다가설 수 있는 유용한 질문과 지식을 희생하면서 사는 우리들이다.
‘다양한 가족’을 존중한다는 말로는 부족하다. ‘정상가족’이라는 옆으로 누운 공간으로부터 사는대로 길을 터 나아가기 위해서는 아직도 떠올려야할 질문이 많이 남아있다.

Leave a comment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ev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