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DRP, “동대문에는 DDP만 있는 것이 아니다”(36호)

2014년 4월 9일culturalaction
[편집자주] “지금, 우리에게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는 무엇인가?”
드디어 DDP가 개관했다. 오랜 시간 동안 관심과 비판의 대상이었던 DDP가 우리의 일상으로 걸어들어 온 것이다. 누군가는 DDP가 가져다 줄 경제적 효과를 제시하며 흥분되어 있고, 누군가는 그 무엇도 해결되지 않은 채 세상 밖으로 걸어 나온 DDP의 새로운 재앙을 걱정하고 있다. <문화빵>은 이번 특집을 통해 DDP를 둘러 싼 사회적 토론을 제안한다. 지금 우리에게 DDP는 무엇인가? 약 5000억원의 건립비용, 약 300억원의 연간 운영비용을 시민이 부담하면서 도전해야 할 공공건축, 공공디자인의 가치는 무엇인가? DDP를 둘러 싼 이야기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① DDP 개관, 서울의 디자인과 건축에 대한 사회적 토론이 시작돼야 할 때 _ 문화연대
② ‘디디피’를 벗어나야 ‘그것’이 제대로 보인다 – 디디피의 급진적인 형태변형을 제안한다 _ 김상철 (문화연대 집행위원, 노동당 서울시당 사무처장)
③ 동대문에는 DDP만 있는 것이 아니다 _  DRP(동대문옥상파라다이스)

DRP, “동대문에는 DDP만 있는 것이 아니다”

DRP(동대문옥상파라다이스)

도시의 빈 곳
청년의 빈 곳
예술의 빈 곳

동대문에 가면

동대문에 가면 평화상가도 있고, 통일상가도 있고, 전태일 상도 있다. 24시간 돌아가는 도매상가들도 있고, 지게꾼도 있고, 퀵퀵 오토바이도 있다. 거리에는 외국인이 더 많고 수 많은 양고기집, 우주베키스탄 사마라칸트, 네팔의 에베레스트, 인도의 야무네, 그리고 홍어국수집, 2500원 콩나물국밥집도 있다. 옷, 신발, 모자… 완구도 많고, 스포츠 용품, 생뚱맞은 파충류, 조류, 어류도 판다. 뒷골목의 뒷골목, 여관, 여인숙, 쪽방도 있다. 각종 부자재, 봉제, 나이든 장인들. 각자의 자리가 뚜렷한 동네라서 의자 하나가 휴게실이고 통로는 다방이다. 옛날 공장으로 쓰던 4-5층은 어두컴컴한 창고가 되었다. 직접 만들기보다는 아시아의 싼 노동력을 쌓아 놓는 공간이다.
아래로는 청계천, 옆으로는 한 집 건너 봉제공장 창신동, 물건들의 바다 동묘와 신당동도 있다. 여기에 더해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가 생겼다.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며 피난민들이 만든 상가들은 많이 늙었고 동대문을 그대로 모방해 만든 광저우의 도매상가들은 추월하기 시작했다. 전태일 정신은 아직도 잘 구현되지 않았고 청년들은 어떤 삶을 살아갈지 결정을 미루고 있다.

공중에 새처럼 모였다 흩어졌다

도시의 새로운 거처

변화하고 있는 동대문 지역의 축적된 자원과 공간 조건을 활용해서 청년들이 생존해나가는 삶을 마련할 수 없을까. 각자의 자리가 뚜렷한 동네라서 청년들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닐까. 아니 오히려 가장 빽빽한 도심구조인 동대문이 최근 세계 도시 및 서울시가 관심을 갖는 도시공백을 새로운 접근으로 다룰 수 있는 의외의 지역이자 공간이지 않을까. 도시의 새로운 거처를 마련하기 위해 소유가 아닌 전유, 활용의 개념, 방식을 수렴한다면 전혀 다른 방식의 임시적 거처가 만들어 지지 않을까.
동대문에서의 빈 곳 찾기는 이러한 가능성 발견, 전혀 다른 각도와 시각에서의 새로운 마주침에서 발생하는 많은 물음과 시도에서 시작한다. 기존에 축적된 물적, 인적자원과 지역적 공간이 기둥이라면 사이사이를 비집고 들어가기 위해 청년이 할 수 있는 빈 역할,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빈 공간, 새로운 문화적 생산을 위해 빈 곳으로 흘러가는 예술적 퍼포먼스 등을 시도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진입시도가 확장되어 동대문 역사와 도시생산 구조를 기반으로 이를 미시적, 거시적으로 재구성하는 활동을 통해 청년들의 새로운 일을 모색한다.
많이 늙어버린 상가건물과 사장되어가는 기술들, 여전히 동대문은 광저우의 구조적 모델이고 그 안에서 청년들이 어떤 삶을 살아갈지 그려본다. 청년들이 복지의 대상이 된지 오래지만 여전히 그들은 사회적, 지역적 문제 안에 고민을 갖고 살아간다. 자생하며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방향을 시도하고, 사회적, 지역적 문제, 놓쳤던 가치 있는 것들에 대한 마주침, 지역적 문제에서 더 나아가 공통의 흥미를 가진 전 지구적 문제에 대한 고민까지. 이러한 벅찬 고민들을 가지고 신구 빌딩들의 틈바구니에서 삶을 그려나가기란 쉽지 않다. 바닥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라 틈바구니에서 잠시 뛰어올라 공중에서 새로운 각도의 시선과 넘나드는 상상력이 필요하다. 마치 도심 속 간간히 보이는 새처럼.
많은 사람들, 다양한 상상, 위아래를 넘나드는 움직임, 잠시 빌려 쓰는 활동, 꿀벌-꽃 관계를 주변의 비어있는 옥상과 옥상을 잇는 수단으로 활용한다. 가능한 옥상마다 꿀벌정원을 만들어 주고 함께 가꾸어 생산된 꿀과 부산물을 나눈다. 이런 모든 것들이 공간을 소유하거나 임대하는 방식으로 하지 않고 이미 있는 것들, 공간 들을 사용만 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다른 많은 것들이 마찬가지겠지만 우선 돈이 없으니 소유할 수 없고, 이미 도시의 자원이 넘쳐흐른다. 그 자원을 점유하면서 내부적으로 자기 것을 축적하는 방식이 아니고 활용하면서 오픈하는 방식, 새로운 방식이 아닐까. 이처럼 공중에 새처럼 모였다 흩어졌다하며
도시의 새로운 거처를 만들어 간다.

옥상낙원 DRP

dongdaemun rooftop paradise

처음은 동대문 신발도매상가B동 옥상이다. 동대문의 수많은 옥상과 옥상을 연계하기 위한 현장사무소랄까. 동대문 생태계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공간 및 부산물 등을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함으로써 그간 놓쳤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고 가치를 다시 부여하는 시도를 한다. 유머스럽게 사용하기, 대안적으로 사용하기, 의외로 쾌적하게 사용하기, 공중도시로 사용하기 등. 앞으로 확장할 임시적 옥상 공간의 구축 방식을 시도하기도 한다. 바람이 모여 구름이 형성되는 그 곳, 아하 동대문 옥상낙원 DRP.

Leave a comment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ev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