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밀리터리 덕후를 인터뷰하다(가상 인터뷰)(28호)

2013년 10월 17일culturalaction
[특집]군복을 입은 한국 사회의 자화상
현재 한국의 꼴을 거울에 비추면 어떤 모습을 볼 수 있을까? 물론 여러 가지 모습을 볼 수 있겠지만 그 중에 하나는 군복을 입고 있는 모습일 거다. 군복은 단순히 군인들이 입고 있는 유니폼이 아니다. 정치적으로는 남과 북이 체제 대립적인 상황이고, 역사적으로는 전쟁을 겪었으며, 사회적으로는 전후 세대들이 권력을 쥐고 있고, 제도적으로는 강제적인 병역제도인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는 국가에서 군대는 대단한 존재감을 가진다. 그리고 군사주의 문화는 강력한 이데올로기를 장악한다. 주변에 군대를 갔다온 남자들만이 가진 보상 심리의 문제가 아니라, 특히 최근 박근혜 정부의 국군의 날 행사나 미디어에 비춰진 병영 프로그램들을 보면 그 현상들을 여실히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군사주의 문화가 우리와 공존하고 있는 게 최근의 일이 아니다. 오래전부터 우리는 군복을 입고 진흙탕을 뒹굴고 있었다. 우리는 언제쯤 이 떼묻은 군복을 벗어버릴 수 있을지 이번 문화빵에서는 군복을 입은 한국 사회의 자화상을 다뤄봤다.
① 군사주의의 다양한 얼굴들 / 이용석 (전쟁없는 세상)
② 군대문화의 일상화와 군인 코스프레, 그리고 <진짜 사나이> / 권경우 (문화평론가, 문화사회연구소 연구기획실장)
③ 밀리터리 덕후를 인터뷰하다(가상 인터뷰) / 최지용 (문화연대 자원활동가)

밀리터리 덕후를 인터뷰하다(가상 인터뷰)

최지용 / 문화연대 자원활동가
(아래의 인터뷰는 필자가 인터넷 밀리터리 게시판을 수차례 모니터링 한 것을 재구성하여 쓴 픽션입니다.)
글쓴이(이하 ㄱㅆ) : 안녕하세요.^^
밀덕(이하 ㅁㄷ):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ㄱㅆ: 먼저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ㅁㄷ: 네, 저는 군대 무기와 장비라면 환장하는 밀리터리 덕후입니다. 특히 총기류를 좋아하는 총기 밀덕이고요. 디씨인사이드 총기 갤러리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고딩 때부터 본격적으로 덕질을 했으니까, 밀덕 생활을 한지 3, 4년 정도 된 것 같네요.
ㄱㅆ: 총기 밀덕이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밀덕에도 여러 타입이 있는 건가요?
ㅁㄷ: 그렇죠. 기갑을 빠는 애들도 있고, 항공기나 군함에 환장하는 놈들도 있죠. 보통 자기 취향에 따라서 다른 커뮤니티에서 활동합니다. 뭐 여기저기 찔러대는 놈들도 있지만요.
ㄱㅆ: 아 그렇군요. 이건 우문일수도 있는데, 그렇게 총기를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ㅁㄷ: 총기를 좋아하는 이유라… 글쎄요. 어느새 저도 모르게 빠져있더군요. 일단 남자들의 로망 아닙니까? 총을 들고 있으면 존나 간지나고 쌔끈해 보이잖아요. 제가 총을 좋아하기 시작한 건 엄청 어릴 때부터였는데요. 추석, 설날에 어른들한테 용돈을 받으면 동네 문방구에 가서 총을 사곤 했어요. 그 당시 제가 제일 좋아했던 게 아카데미 오메가였죠. 크크 생긴게 각져서 뽀대가 나기도 했고, 또 조립식으로 나오는 다른 총들은 어린나이에 조립하기가 힘들기도 했으니까요. 한 번은… 아마 베레타였을 거에요. 조립품을 샀는데 제대로 조립을 못하고 울다 지쳐 잠든 적이 있어요.
ㄱㅆ: 아 그런 점에서 보면 밀리터리 덕후도 다른 분야의 덕후들과 비슷하네요. 보통 아동․청소년기의 추억과 경험에 강한 영향을 받아서 덕후의 길로 접어드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ㅁㄷ: 그렇죠. 밀리터리 덕질을 한 것이 저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봐요. 중고딩 때도 총이라면 정신 못차렸죠. 엄마 몰래 베레타 오토나인을 산다던가 그랬죠. 그리고 플래툰 같은 잡지들을 모았고… 지금 보면 형편없는 내용이지만 그 당시엔 정말 신세계였어요.
ㄱㅆ: 총기에 대한 지식이 많으시겠어요?
ㅁㄷ: 물론이죠. 밀덕들은 특히 고증에 민감하니까요. 쉽게 말하자면 이런 거예요. 군대 다녀오신 분들은 국군 주력 소총이 K-2인걸 다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국군 군복을 입고 있는데 AK47을 들고 있다? 이건 말이 안 되는 거죠. 밀덕들은 영화나 게임에서 이런 오류들을 엄청 잘 찾아내요.
ㄱㅆ: 그렇게 고증을 하려면 전쟁사도 많이 알아야 되겠네요?
ㅁㄷ: 밀덕들 중에는 각 전쟁별로 사용된 무기나 군복들, 군장 그리고 전술들을 꿰고 있는 놈들이 많아요. 특히 2차세계대전은 가장 관심이 많은 주제이죠.
ㄱㅆ: 2차세계대전이라… 이건 좀 민감한 주제가 될 수도 있겠는데요.
ㅁㄷ: 솔직히 말하면 전 2차세계대전 당시의 독일이나 일본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독일은 당시 킹왕짱이었던 대영제국과 프랑스와 동시에 맞짱을 떴으니까요. 그리고 일본은, 물론 왜놈들한테 합병당한 것은 자존심 상하긴 하지만 약육강식이라는 세태를 보면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고요. 아시아 최초의 근대문명국가였고 엄청난 강국들 사이에서 그 정도 했으면 정말 대단한 거 아닙니까?
ㄱㅆ: 아… 네;;(급 피곤해진다. 인터뷰를 그만두고 싶어진다.) 군사력이 강한 나라를 꿈꾸는 게 멋져 보인다는 건가요?
ㅁㄷ: 당연한 것 아닙니까? 도산 안창호 선생도 실력양성론을 주장하지 않으셨습니까? 강한 나라를 꿈꾸는 것은 좋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ㄱㅆ: 그런 생각이 무의미한 군비경쟁을 불러일으킨다고 생각하지 않습니까? 국가들 간의 경쟁 속에서 죄 없는 국민들은 끊임없는 불안에 시달려야하는 것이고요.
ㅁㄷ: 현실적으로 생각해보세요. 만약에 평화를 외치면서 군사력을 키우지 않는다고 가정 해봐요. 그럼 그동안 다른 나라들은 놀고 있습니까? 다들 겉으로는 평화를 말하지만 다른 나라보다 강해지는 걸 원하고 있어요. 결국 약한 나라는 잡아먹히게 되어있습니다.
ㄱㅆ: 글쎄요. 세상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약육강식의 원리대로만 돌아가지 않아요. 비록 위선일지 모르지만 인권과 평화에 대한 국제적 합의와 국가들 간의 공조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는 많은 반성을 했습니다. 비록 완벽하진 않지만 세상은 점점 나아지고 있어요.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이 완벽하지 않은 평화를 지켜나가는 것, 그러면서 더 나은 세상을 위해 노력하는 것. 그것이 인류의 책무라고 생각합니다. 이 이야기는 이만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하죠. 이번 질문은 좀 재미있을 것 같네요. 고 노무현 대통령의 국방정책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ㅁㄷ: 재밌는 질문이긴 하네요. 국방에 있어서는 노무현 대통령이 진정한 보수주의자라고 생각합니다. 군국주의자도 이런 군국주의자가 없는 것 같습니다. ‘협력적 자주국방’을 표방해 국방비를 매년 9% 가깝게 증액했고요. 세종대왕함을 진수했고 동급함 3척 추가 확보 추진했습니다. 미국에서 글로벌 호크 4대를 도입하기로 약속받았고, 국산 항공기도 여러 대 뽑았고… 아 그리고 독도함! 이건 참 대단한 거 같습니다. 아시아 최대의 강습상륙함. 그리고 기갑도 엄청 증강시킨 걸로 알고 있습니다. 국방력에 대해선 거의 우익 군국주의자 수준이죠. 전작권 회수로 한미 공조를 악화시켰다고 까는 애들도 있는데, 여기 있으면 얻어먹을 게 많은데 미군이 절대로 철수 안하죠.
ㄱㅆ: 그러면 이명박 정부나 박근혜 정부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ㅁㄷ: 이명박 정부에 대해선 별로 할 말이 없네요. 국방에 있어선 빵점입니다. 박근혜 정부에 대해서는 기대하고 있어요. 역시 박정희 각하의 따님답게 국군의 날 행사를 크게 열었더라고요. 그만큼 군인들이 중요하단 걸 아시는 거죠. 국방은 정말 중요합니다. 우리나라도 이스라엘처럼 되어야 해요. 국민들이 나서서 나라를 지켜야 돼요. 여자들도 군대에 가야 하고요.
ㄱㅆ: 아 네..(아 인터뷰 언제 끝나;;) 국민이 국가를 위해 존재한다는 거군요… 그럼 양심적 병역 거부도 반대하시겠네요?
ㅁㄷ: 당연한 거 아닙니까? 양심적 어쩌고 운운하는 거 빡치네요. 입대일자는 다가오는데 군대는 가기 싫으니까 그러는 거 아닙니까? 또다시 전쟁이 나야 정신을 차릴려나. 요즘 남자놈들이 너무 약해빠졌어요.
ㄱㅆ: 아;;;;;;;; 강한 남자를 좋아하시는군요? 그럼 군대는 특전사나 해병대로 다녀오셨겠네요?
ㅁㄷ: 아..아뇨… 제가 몸이 별로 안좋아서… 면ㅈ…(땀을 뻘뻘 흘림) 인터뷰는 이쯤에서 끝내죠. 제가 약속이 있어서…(황급히 나간다)
ㄱㅆ: 엇… 어 이렇게 가시면 안 되는데.., (인터뷰 중단)

Leave a comment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ev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