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군사주의의 다양한 얼굴들(28호)

2013년 10월 17일culturalaction
[특집]군복을 입은 한국 사회의 자화상
현재 한국의 꼴을 거울에 비추면 어떤 모습을 볼 수 있을까? 물론 여러 가지 모습을 볼 수 있겠지만 그 중에 하나는 군복을 입고 있는 모습일 거다. 군복은 단순히 군인들이 입고 있는 유니폼이 아니다. 정치적으로는 남과 북이 체제 대립적인 상황이고, 역사적으로는 전쟁을 겪었으며, 사회적으로는 전후 세대들이 권력을 쥐고 있고, 제도적으로는 강제적인 병역제도인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는 국가에서 군대는 대단한 존재감을 가진다. 그리고 군사주의 문화는 강력한 이데올로기를 장악한다. 주변에 군대를 갔다온 남자들만이 가진 보상 심리의 문제가 아니라, 특히 최근 박근혜 정부의 국군의 날 행사나 미디어에 비춰진 병영 프로그램들을 보면 그 현상들을 여실히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군사주의 문화가 우리와 공존하고 있는 게 최근의 일이 아니다. 오래전부터 우리는 군복을 입고 진흙탕을 뒹굴고 있었다. 우리는 언제쯤 이 떼묻은 군복을 벗어버릴 수 있을지 이번 문화빵에서는 군복을 입은 한국 사회의 자화상을 다뤄봤다.
① 군사주의의 다양한 얼굴들 / 이용석 (전쟁없는 세상)
② 군대문화의 일상화와 군인 코스프레, 그리고 <진짜 사나이> / 권경우 (문화평론가, 문화사회연구소 연구기획실장)
③ 밀리터리 덕후를 인터뷰하다(가상 인터뷰) / 최지용 (문화연대 자원활동가)

군사주의의 다양한 얼굴들

 
 
이용석 / 전쟁없는 세상
 
군사주의란 무엇일까? 랑(Lang)은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정당화된(legitimate) 조직적 폭력을 용인하는 태도’로, 라스웰(Lasswel)은 ‘군인들의 이데올로기가 전 사회 속에 파고드는 현상’으로 규정했다. 베그츠(Vagts)는 ‘민군관계라는 관점에서 민간에 대한 군대의 지배, 혹은 군사적 수요의 과도한 우위를 형성하는 것이 군사주의’라고 했고, 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는 다른 무엇보다도 군대의 상층부나 지배 세력들이 다른 수단에 비해 군대적 문제 해결을 첫 번째 수단으로 보는 것과 하층부의 사람들이 그런 문제 해결을 문제의식 없이 받아들이는 것이 군사주의를 의미한다고 했다. 또한 마이클 만(Mann)은 군사주의를 “전쟁과 그 전쟁을 준비하는 것이 정상적이고 바람직한 사회적 활동으로 보이게 하는 태도와 일련의 제도들”이라 정의했다. 1)
 
이렇듯 사실 군사주의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마다 조금씩 다른데, 각각의 설명은 군사주의가 가진 다양한 속성들의 일부를 드러낸다. 오늘날 군사주의는 단순히 국방의 영역에 머물러 있지 않다. 군사주의는 경제나 정치는 말할 것도 없고 문화 영역에도 깊이 침투해 있기 때문에, 어찌 보면 다양한 해석과 개념 정리가 넘치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에서 군사주의는 어떤 얼굴을 하고 있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선명하게 알고 싶은 분들에게 5년마다 돌아오는 국군의 날 퍼레이드를 구경해 보라고 하고 싶다. 벌건 백주 대낮에 전쟁이 일어나는 것도 아닌데 거대한 탱크가 서울 시내 한 복판을 다니는 장면은 한국 사회가 얼마나 군사주의에 찌들어 있는지,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군사주의가 어떤 모습으로 작동하는지를 잘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먼저 한국 사회는 그 자체로 하나의 거대한 병영국가다. 군대가 아니더라도 군대보다 더 심한 군사주의가 작동하는 곳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군사주의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군대 이야기가 꼭 필수적인 건 아니다. 군사주의가 작동하는 가장 대표적인 곳으로 학교나 회사를 예로 들 수 있다. 학교나 회사에서 겪는 군사주의는 우리의 삶 속에 깊숙히 내면화된 하나의 문화이며 우리의 삶을 틀로 옭아매는 시스템이다. 군대가 끔찍하다 끔찍하다 하지만 막상 가면 다들 잘 적응하는 이유가 그곳의 메커니즘이 학교와 놀랍게도 똑같기 때문이다. 학교와 군대는 공간의 배치까지도 놀랍도록 닮았는데, 운동장을 연병장으로, 교문을 위병소로 구령대를 사령대로 바꾸면 학교와 군대의 구분은 없어진다. 또한 민주주의는 삭제된 채 상명하달 식으로 내려오는 명령만 수행해야 하는 건 군대에서나 노동 현장에서나 마찬가지의 운명이다. 
 
또한 군사주의는 군사 안보 지상주의다. 국군의 날 서울 시내 한 복판을 활보하는 탱크는 강한 군사력을 통한 국가 안보의 상징이다. 사실 한국 사회는 군사력을 통한 안보가 과연 우리에게 평화를 가져다 주는지, 아니면 갈등과 긴장과 불안을 가져다 주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쉬이 용납되지 않는 사회다. 이는 안보의 다양한 개념이 공론의 장에서 논의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안보에 대한 대부분의 이야기들은, 평화나 평안을 이야기하기보다는 전쟁이 일어난 상황을 가정한 뒤에 강한 군사력만이 우리가 살아남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윽박지르는 이야기일 뿐이다. 이렇듯 사회의 문제, 특히 안보의 문제에 있어서 군사적인 해결을 다른 어떤 방법보다도 최상위에 두는 것은 군사주의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애국심과 국가주의도 군사주의의 한 전형이다. 대체복무제도를 요구하는 병역거부자들이 가장 많이 듣는 공격성 질문이 “그러면 나라는 누가 지키는데?”라는 말이다. 우리 사회는 목숨 바쳐 국가를 지켜야한다는 생각이 아주 강하다. 하지만 그 반대의 생각, 즉 국가가 시민들을 위해서 해야할 일을 방기하는 것에는 한없이 너그럽다. 국가와 시민의 관계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없었기 때문에 이런 모순적인 일이 벌어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군사주의는 경제다. 사실 이 영역은 한국 사회 군사주의가 아주 활발히 작동하는 영역은 아니다. 하지만 앞으로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전쟁과 군대가 돈벌이의 영역으로 넘어간 지 오래됐다. 다양한 역할을 하는 민간군사기업들이 생겨났다. 이들은 전쟁 시 군대를 서포터하는 역할은 말할 것도 없고, 때로는 군대가 해야 할 역할들을 수행하기도 한다. 아울러 죽음의 상인이라 불리는 무기거래 상인까지 모이면 확실히 국방과 안보는 돈이 많이 모이는 곳이 된다. 이런 면에서 한국의 경제적인 영역의 군사주의는 아직 시작 단계라고 볼 수 있다. 10월 말에 킨텍스에서 열리는 ADEX(무기박람회) 같은 행사가 한국도 서서히 돈이 되는 군사주의로 접어들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런 상황을 봤을 때 앞으로 국군의 날 행사에서 시가 행진을 하는 첨담 무기들을 보고 이런 말들이 오가게 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멋있다거나 으리으리하다는 평가 대신 저 무기는 얼마짜리고 누가 저걸 몇 대를 팔았는지를 따지게 되는 날이.
 
     
——————————————————————————————————————–
1) 임재성, <평화운동으로서의 한국 병역거부운동 연구 – ‘양심의 자유’와 ‘반군사주의’간의 긴장관계를 중심으로>,서울대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9

Leave a comment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ev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