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문화적 파시즘, 그 동전의 반대면이 되지 않기 위하여(27호)

2013년 10월 2일culturalaction
[편집자주] <천안함 프로젝트>가 메가박스에서 상영 중단된 지 벌써 한 달이 지났다. 이 사태는 사전 검열이나 독과점으로 인한 개봉 실패 혹은 조기 종영과는 또 다른 양상을 보인다. 상영 중인 영화가 극장에서 스크린을 내린 전대미문의 사건이기 때문이다. 종북 프레임으로 이 영화를 규정하고 검열하려는 일부 사회적 흐름도 문제이긴 하지만, 문화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문화 민주주의의 심각한 훼손이지 않을 수 없다. 더 많은 표현의 자유를 외쳐야 할 시점에서 또 다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그래서 지난 16일에 열렸던 긴급토론회 ‘<천안함 프로젝트> 상영중단 사태, 어떻게 볼 것인가’에서 이야기했듯 “메가박스가 검열의 대리기구 역할을 했다”는 점을 다시 유념할 필요가 있다. <천안함 프로젝트>는 이런 상황에도 멈추지 않고 관객들을 만나려 하고 있다. 지난 28일엔 관객들의 광장 상영 요청에 의해 지난 청계광장에서 야외 상영회를 가졌었다. 그래서 이번 <문화빵>에서는 여전히 항해중인 이 영화와 이 사태에 대해 다뤄봤다.
① 겁박효과라는 검열 – 보이지 않는 공포의 실체를 더듬으며 / 김영진(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교수)
② 천안함 프로젝트라는 블랙 코미디, 누군가에겐 공포영화 / 강성률(영화평론가)
③ 문화적 파시즘, 그 동전의 반대면이 되지 않기 위하여 / 최혁규(문화연대)
——————————————————————————————————————-
[특집]27호
문화적 파시즘, 그 동전의 반대면이 되지 않기 위하여
최혁규(문화연대)
<천안함 프로젝트> 상영중단 사태를 보면 자연스레 이런 질문이 생긴다. <천안함 프로젝트>가 어떤 영화길래 상영중단까지 하는 사태가 발생했을까? 메가박스는 관객의 신변 보호를 위해 상영 중단을 결정했다는데 한 영화가 그렇게까지 첨예한 사회적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일까? 역사적으로 봤을 때도 국가에 의한 영화의 내용적 검열이나 자본에 의한 영화 상영 불가와 같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데 대체 영화가 뭐길래 이렇게까지 억압하는 것일까? 이런 과정에서 영화가 내외적으로 이데올로기적 투쟁을 수행하고 있다면 어떤 방식으로 그 역할을 하고 있는가? 또한 영화가 정치적이라면 어떤 측면에서 정치적인가?
영화에 있어서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와 영화미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결코 쉬운 게 아니다. 특히 사회적인 내용을 풍부하게 담아내고 정치적인 이데올로기 투쟁을 뛰어나게 수행하고 있는 영화는 종종 미학적 완성도가 낮다는 이유로 종종 비판을 받곤 한다. 역으로 영화미학적으로 뛰어난 영상미를 보여주는 영화에 정치적 윤리의식이 보이지 않다는 이유로 비판을 제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런 이분법적 접근에서 벗어나 윤리적 미학과 미학적 윤리라는 부분으로 작품을 접근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이런 논의들도 그 둘의 관계 회복에 잘 기능하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 하지만 <천안함 프로젝트> 상영중단 사태는 이런 논의들과 더불어 조금 다른 지점에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상영중단 사태를 규탄하고 진상 규명을 해야 하는 이유는 표현의 자유, 문화적 권리 그리고 문화민주주의의 훼손 때문이다. 창작자가 만들어낸 한 편의 영화와 관객들이 만날 수 있는 장을 무너뜨린 행위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또한 이런 만남의 기회를 정치적인 이유로 혹은 자본의 논리로 억압했다는 점도 중요한 문제다. 영화가 좋고 나쁘고, 잘 만들었고 못 만들었고의 문제는 관객들이 영화를 본 후에 결정하고 토론해볼 문제다. 하지만 이런 기회조차 박탈해버린다면 우리는 무엇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 그렇기 때문에 이 영화가 이데올로기적 투쟁의 연장선에 있는 영화이고 그런 만큼 꼭 봐야만 하는 영화이기 때문에 재상영을 해야 한다는 주장은 이분법적인 판단이다. 이런 이유에서 상영중단 사태를 규탄한다면, 역으로 상이한 이데올로기적 수행을 하고 있는 영화는 검열하고 억압해야 한다는 주장이 된다. 이는 자신의 구미에 맞지 않는 영화의 내용 때문에 <천안함 프로젝트> 상영중단을 요구한 일부 보수단체들의 문화적 파시즘과 동전의 양면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의 종다양성이란 측면을 포함해서 이 문제에 접근하지 않고 정치적 잣대로만 이 문제를 판단하려 하면 자칫 그 동전의 반대면이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만 보더라도 <천안함 프로젝트>를 검열하는 행위는 복잡하고 다양한 겹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안함 프로젝트>는 두 전문가의 진술로 진행된다. 영화는 새로운 의문을 제기하는 게 아니라 기존에도 제기되었던 질문들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담아낸 영화다. 북한에 의한 ‘천안함 폭침’이라는 국방부 측 주장에 제기되었던 의문은 북한 잠수정의 크기, 1번 글씨, 물기둥, 북한 잠수정의 이동 경로 등이 있는데, 영화는 이런 의문을 제기하는 입장의 연장선에 있으며 이를 제대로 해명해주길 바라는 영화적 몸짓이다. 다시 말해 <천안함 프로젝트>는 ‘천안한 폭침’이라는 주장을 전면 거부하고 영화가 아니라, 기존의 결론에 지속적으로 의문을 제기하는 행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천안함 프로젝트>를 둘러싸고 있는 복잡한 층위의 문제들을 구별하고 그 문제 지점들을 파악해서 더 이상 이런 의문들을 국가안보 이데올로기나 자본의 논리로 검열하고 억압하는 사태가 없도록 해야 한다.

Leave a comment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ev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