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2013년 여름 대중음악 페스티벌 후기(26호)

2013년 9월 17일culturalaction
[특집] 2013년 음악 페스티발 결산 : 호황인가?거품인가?
[편집자주]2013년 대한민국의 여름은 음악 페스티발의 열기로 가득찬 한해로 기록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8월 한달간 대형 페스티발이 무려 5개나 열렸기 때문입니다. 수치상으로만 봐도 거의 한주에 하나의 페스티발이 열린 꼴인데, 이는 우리나라보다 음악시장의 규모를 생각해봤을 때 상당히 많은 횟수입니다. 세계적인 뮤지션인 라디오헤드, 메탈리카, 뮤즈 등의 팀들도 이제는 해외에 가지 않고서도 국내에서 공연을 보는 것이 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2013년 음악 페스티발, 과연 호황일까요? 아니면 거품일까요? 이번 문화빵에서는 음악 페스티발 결산을 특집으로 준비해 보았습니다.
① [좌담] 2013년 음악페스티발을 말한다 / 박선영(문화연대), 김작가(음악평론가), 권석정(10아시아 기자)
② 2013년 여름 대중음악 페스티벌 후기 / 서정민갑(대중음악의견가)
③ 한국의 음악 페스티벌 붐과 21세기 미국 음악 산업의 동요 / 차우진 (음악웹진 [weiv] 편집장/음악평론가)
————————————————————————-
[특집]26호
2013년 여름 대중음악 페스티벌 후기
 
 
 
 
 
서정민갑(대중음악의견가)
 
 
올 여름의 대중음악 페스티벌은 이미 다 끝났다. 이제는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 가을의 대중음악 페스티벌들이 이어지고 있다. 벌써 3개의 재즈 페스티벌이 거의 끝났고, 가을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최강자인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과 그랜드민트페스티벌, 글로벌 개더링 등이 손짓하고 있다. 
 
올 여름 대중음악 페스티벌을 이야기 할 때, 그러니까 안산 밸리 록 페스티벌(이하 안산),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이하 펜타포트), 지산월드 락 페스티벌(이하 지산), 슈퍼소닉 페스티벌(이하 슈퍼소닉),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시티브레이크(이하 시티브레이크)를 이야기 할 때 나를 비롯한 많은 대중음악 관계자들이 우려했던 것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너무 많지 않느냐는 것이었다. 실제로 한국에서 대중음악 페스티벌 붐이 불기 시작한 것이 채 10년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지난 해 지산에 라디오 헤드가 왔을 때의 집객을 넘어야만 수익이 날 수 있는 대형 규모의 대중음악 페스티벌이 한 달 사이에 5개나 열리는 것이 대중음악 시장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인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벌어진 일부 해외 출연진의 출연료 인상이 긍정적인지에 대해 흔쾌히 고개를 끄덕이기는 어려웠다.
 
물론 시장에서 벌어지는 일은 대부분 자본의 자유이다. 다섯 개의 페스티벌이 담합해서 가격을 올리거나 공급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 바에야 페스티벌을 하라거나 하지 말라고 할 이유는 없다. 망해도 그들의 몫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다섯 개의 페스티벌을 지켜보고, 그 중 세 개의 페스티벌에 가보니 페스티벌이 많아서 생기는 장점도 분명히 있기는 있었다. 더 많은 로컬 뮤지션들이 페스티벌에 설 수 있는 기회가 생겼고, 음악 팬들도 취향과 관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늘어났다. 더 많은 해외 뮤지션을 만날 수 있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대중음악 페스티벌이 여름 기간에 몰려 있기는 했지만 각각의 페스티벌은 미묘한 차이가 있었다. 안산이 상대적으로 트랜디한 음악들, 특히 인디 신의 음악을 폭넓게 소개했다면, 펜타포트는 복고적인 취향이 돋보였고, 슈퍼소닉은 팝 페스티벌에 더 가까웠다. 지산과 시티브레이크는 출연진들 가운데 유명 뮤지션들이 좀 더 많은 편이었다. 관객들이 편리하게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한 펜타포트의 꼼꼼한 기획도 돋보였다.
 
하지만 개인적인 감상을 이야기하자면 솔직히 다섯 개의 페스티벌 가운데 겨우 세 개의 페스티벌만을 지켜보는 일만으로도 충분히 힘들었다. 7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 주말마다 페스티벌을 좇아 안산으로, 인천으로, 올림픽 공원으로 오가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거리도 거리였지만 올해 페스티벌의 라인업이 대부분 과거의 재탕이었고 대부분의 페스티벌 라인업과 프로그래밍, 부스, 공간 구성 등이 비슷해서 강한 기시감을 느끼게 하는 점도 페스티벌에 대해 흥미를 잃게 하는 부분이었다. 또한 관객들을 불편하게 하는 상업적인 운영도 페스티벌에 대한 관심을 더 떨어뜨렸다. 그래서였을까? 올 여름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주최측은 대부분 흥행에 실패했고 관객을 50%~300%까지 부풀렸다는 것이 업계의 후문이다.
 
물론 내가 나이를 먹어 체력이 떨어지고 공연을 많이 봐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아무리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도 대동소이한 페스티벌 1~2개 이상을 계속 쫓아다니기에는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체력적으로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앞으로 여름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성패가 갈리지 않을까? 비슷비슷한 컨셉트와 프로그래밍으로는 더 이상 시장이 확대되지 못하고 페스티벌이 거둘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지금까지가 페스티벌 라운드의 버전 1이었다면 이제는 버전 2가 나와야 할 시점이다. 서로 다른 컨셉트와 새로운 음악적 발견, 관객 배려와 참여형 프로그램 계발이 관건이다.

Leave a comment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ev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