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좌담] 2013년 음악페스티발 결산 어떻게 볼 것인가?(26호) by anonymous

2013년 9월 17일culturalaction
[특집] 2013년 음악 페스티발 결산 : 호황인가?거품인가?
[편집자주]2013년 대한민국의 여름은 음악 페스티발의 열기로 가득찬 한해로 기록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8월 한달간 대형 페스티발이 무려 5개나 열렸기 때문입니다. 수치상으로만 봐도 거의 한주에 하나의 페스티발이 열린 꼴인데, 이는 우리나라보다 음악시장의 규모를 생각해봤을 때 상당히 많은 횟수입니다. 세계적인 뮤지션인 라디오헤드, 메탈리카, 뮤즈 등의 팀들도 이제는 해외에 가지 않고서도 국내에서 공연을 보는 것이 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2013년 음악 페스티발, 과연 호황일까요? 아니면 거품일까요? 이번 문화빵에서는 음악 페스티발 결산을 특집으로 준비해 보았습니다.
① [좌담] 2013년 음악페스티발을 말한다 / 박선영(문화연대), 김작가(음악평론가), 권석정(10아시아 기자)
② 2013년 여름 대중음악 페스티벌 후기 / 서정민갑(대중음악의견가)
③ 한국의 음악 페스티벌 붐과 21세기 미국 음악 산업의 동요 / 차우진 (음악웹진 [weiv] 편집장/음악평론가)
————————————————————————-
[특집]26호
[좌담]2103년 음악페스티발을 말한다
 
 
김작가(음악평론가)
권석정(10아시아 기자)
정리 : 박선영(문화연대)
 
 
박선영 : 2013 여름 음악 페스티발 시즌이 끝났습니다. 올해는 여름 성수기 동안 거의 매주 대형 페스티발이 열리고 몇몇 페스티발은 일정이 겹치는 등 음악 페스티발의 전성시대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호황을 누렸는데요. 이런 음악 페스티발의 호황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김작가 : 저는 호황이라고 보지는 않구요. 페스티발 거품의 절정이었던 시기였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한국의 연간 음악 페스티발 시장이 10만명 정도인데, 그 10만명이 5개 페스티발이 나누어 가지는 형국에서는 어떤 페스티발도 유의미한 관객 숫자를 동원할 수 없었죠.   
권석정 : 저도 비슷한 생각인데요. 음악 페스티발에 대기업들의 관심으로 자본이 유입되면서 해외 유명 뮤지션들을 데려올 수 있는 프로모션 능력과 무대, 음향 시설과 같은 기술적인 영역들은 급성장했죠. 하지만 올 수 있는 관객 수는 정해져 있고 페스티발의 수는 급격히 늘면서 거의 대부분의 페스티발은 흥행에 실패를 하게 되었어요. 그래서 초대권도 이전해에 비해서 남발하게 되었구요.  
* 5대 음악 페스티발
2013년 여름에 열렸던 5개의 대형 음악 페스티발. 지산 월드락 페스티발, 안산 밸리 록페스티발, 인천 펜타포트 락페스티발,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CITYBREAK, 슈퍼소닉 2013 
 
음악 페스티발이 기업들의 좋은 홍보 수단
 
박선영 : 두분다 이번 음악 페스티발은 호황이 아니라 거품으로 보시는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왜 자본들이 음악페스티발에 관심을 갖게 되고 유입되게 된 이유는 뭘까요?
 
권석정 : 음악 페스티발이 최근들어 사람들의 인식이 많아 바뀌었어요. 예전에는 음악 페스티발이 특정 매니아들이 즐기는 것이었다면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음악 페스티발에 대해서 알게 되고 언론 기사를 통해서 화제가 되곤 하면서 기업 홍보 효과를 가지게 된 것이죠. 대기업들 같은 경우는 사실 페스티발이 인기를 끌게되기 이전에도 문화행사에 꾸준히 투자를 해왔었어요. 근데 최근들이 음악 페스티발이 화제가 되고 이슈화 되면서 기업들이 좋은 홍보 수단으로 생각하게 된 것 같아요. 
 
김작가 : 예를 들면 이런거죠. 현대카드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광고에 쓸 수 있는 돈이 있어요. 그런데 올해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CITYBREAK”를 유치하면서 <메탈리카>나 <뮤즈>를 광고모델로 쓸 수 있게 된거죠. 기업의 이미지를 좋게 만드는 효과라던지 광고효과 때문에 몇십억원을 날려도 손해보는 것이 아니라는 거죠. CJ가 하는 “안산 밸리 록페스티발” 같은 경우에는 2009년부터 음악 페스티발 산업의 헤게모니를 잡고 있다고도 볼 수 있어요. CJ는 “안산 밸리 록페스티발”을 통해서 페스티발 산업에 CJ가 가지고 있는 위치를 증명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거죠. 일본도 마찬가지인데 “후지락 페스티발”이나 “썸머소닉 페스티발”을 만드는 기획사들이 페스티발로 돈은 버는게 아니에요. 이 페스티발을 통해서 국제적인 음악 네트워크를 만들어 내고, 다른 에이전시들과 신뢰관계를 형성하면서 해외 뮤지션들의 단독 공연 유치를 통해 수익을 만드는 것이에요. 페스티발이라는 것은 공연 마켓, 견본 마켓으로의 역할을 하는거고, 그런 측면에서 봤을 때 기업이나 지방 자치단체에서는 페스티발 산업에 흥미를 가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로 볼 수 있어요. 
 
꾸미기_P9106689.JPG
김작가(대중음악 평론가)
 
과도한 해외 뮤지션 유치경쟁, “악순환의 고리 끊어야” 
 
박선영 : 페스티발 산업에 대기업 자본의 유입이 되면서 결과적으로 양적인 성장을 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인 것 같은데요. 이런 대기업 자본의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질지 아니면 일시적 현상으로 그칠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김작가 : 저는 2000년대 초반에 국제영화제 붐과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그 당시 부산국제영화제, 부천국제영화제들이 성공을 하면서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영화제를 하거나 하려고 시도를 했었어요. 하지만 독창적인 컨텐츠라든지 기획력이 없는 상황에서 성공사례만 보고 영화제가 난립하면서 결국에는 몇 개만 살아남게 되었죠. 음악 페스티발 또한 몇 년 안에 자연스럽게 정리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요.  
 
권석정 : 최근 몇몇 음악 페스티발들이 성공을 하면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음악 페스티발에 대한 관심이 커졌어요. 그래서 공연 기획사쪽으로 문의가 많이 온다고 하더라구요. 하지만 “그랜드 민트 페스티발”이나 “펜타포트 페스티발”과 같이 페스티발의 개성이 있고 그 페스티발만의 색깔을 낼 수 있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과 노력들이 필요해요. 하지만 최근들어 관심을 갖는 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들은 단순히 이목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페스티발을 만들다보니 장기적인 계획이 부재하고 진행상의 미숙함을 보여주기도 해요. 그런 페스티발의 경우는 오래 살아남기 힘들겠죠.
 
박선영 : 작년부터 음악페스티발이 본격적으로 경쟁이 붙기 시작하면서 누가 유명한 헤드라이너를 데려오느냐가 페스티발의 성패를 좌우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요. 작년에 “지산 밸리록 페스티발”에서 <라이오헤드>를 데려오면서 패권을 잡았듯이 말이죠. 하지만 반대로 과도한 유치 경쟁으로 인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 같은데요. 이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김작가 : 한국 페스티발들이 경쟁을 하면서 당연히 해외 유명 뮤지션들의 개런티가 급상승하게 되었죠.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우리보다 시장이 큰 일본 같은 경우는 여름 음악 페스티발이 2개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5개나 되잖아요. 당연히 경쟁이 붙게 되고 특히 헤드라이너급의 개런티가 지나치게 올라가면서 그 부담은 고스란히 관객들에게 돌아가게 되는 악순환을 보이고 있고, 앞으로도 이런 양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요. 
음악 페스티발의 획일화, 한국만의 페스티발 문화의 부재
 
권석정 : 일본같은 경우는 유명 뮤지션들의 공연이 이전부터 많이 있어왔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수요가 우리만큼 크지는 않아요. 하지만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어느 뮤지션이 오느냐가 흥행에 가장 큰 요인이 되다보니까 페스티발이 자신의 고유한 개성을 가지고 섭외를 하는게 아니라 단순히 유명세만 쫒게 되는 거죠. 결과적으로 페스티발들의 개성들은 없어지고 획일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요.  
김작가 : 페스티발에 나갈 수 있는 라인업도 한정되어 있고, 시장도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렇게 매주 마다 페스티발이 열리는 것이 바람직한가 생각해볼 문제예요. 특히 여름시즌 음악 페스티발의 경우에는 라인업의 싸움으로 가면서 과연 한국에 음악 페스티발의 문화가 있느냐도 생각해볼 문제에요.  
 
박선영 : 음악 페스티발의 획일화, 몰개성화 문제는 생각보다 심각성이 큰 것 같아요. 이에 대한 좋은 대안 같은 것은 없을까요?
 
권석정 : 많은분들이 지적하시는 것도 이런거죠. 페스티발은 많은데 나오는 뮤지션들은 일부 인기 있는 팀들 뿐이죠. 작년에 “탑밴드”가 한창 인기를 누렸을 때는 탑밴드 출신들이 라인업을 장악하기도 했었죠. 그렇기 때문에 예를들면 헤비메탈 음악을 하는 팀은 나갈 수 있는 페스티발이 없는거죠. 그래서 그런 팀들이 나올 수 있는 장르형 페스티발이 많아져야 한다고 주장하시는 분들도 계세요.
 
김작가 : 하지만 장르 페스티발 같은 경우는 문제가 시장이 없다는 거죠. 현재 페스티발의 주 소비층은 20~30대 여성과 그들의 남자친구, 그리고 소수의 매니아인데요. 그 소수의 매니아들을 상대로 페스티발을 열기에는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죠. 특히 남성들 같은 경우에는 음악과 같은 문화콘텐츠에 거의 돈을 쓰지 않죠. 남자들의 노는 문화를 보면 술 아니면 게임이거든요. 이런 점도 다양한 장르 페스티발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요인인 것 같아요. 
 
꾸미기_P9106690.JPG
권석정(10아시아 기자)
 
박선영 : 이번 페스티발 기간 동안 몇몇 페스티발은 초대권을 과다하게 남발하면서 인터넷 경매사이트에 페스티발 티켓이 실제 판매가에 1/3에도 못미치는 가격에 판매가 되는 등의 문제점도 보였어요. 앞서 얘기한 듯이 너무 많은 페스티발이 생겨나면서 발생하는 티켓 판매 부진의 결과인 것으로 보이는데요. 
 
김작가 : 한국에서 페스티발의 수익모델이라는 것이 티켓이 아니에요. 그 안에서 이뤄지는 경제활동이 더 중요한 거죠. 기업입장에서는 티켓이 얼마나 팔렸느냐 보다는 축제장 안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와서 매장에서 매출을 올리느냐가 더 큰 관심사라는 거죠. 그러다보니 초대권을 남발할 수 밖에 없었죠. 결국 한국의 페스티발이 외국의 페스티발처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했지만 페스티발의 문화를 만들어 나가면서 경제적 자생력을 획득한 구조가 아닌 거죠. 처음부터 기업 자본과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에 의해서 출발했다는 한계에서 나오는 결과인거죠. 
 
박선영 : 마지막으로 한국의 음악 페스티발에 대한 전망을 내려주신다면?
 
권석정 : 크게 두가지의 의견으로 갈리는 것 같아요. 올래 워낙 거품이 컸던 해라 자본들이 손해를 많이 봤기 때문에 내년부터는 몸을 사리지 않겠느냐는 것과 다른 하나는 올해 현대가 들어온 것처럼 내년에는 삼성, LG 같은 기업들이 더 들어올 거라는 전망이에요. 저는 양쪽을 의견이 모두 신빙성은 있는 것 같아요. 저 개인적으로는 페스티발이 줄어야 된다는 입장이에요. 하나는 좀 심심하고 2개 정도의 페스티발이 건강하게 경쟁하는 구도가 되었으면 해요. 
 
김작가 : 저는 올해가 영화 <타짜>와 같은 상황인 것 같아요. 계속 들어올 수 있는 호구(자본)들은 있고, 여기서 주도권을 잡고 있는 것은 대기업이 아닌 해외 라인업을 가져올 수 있는 에이전시거든요. 그들은 티켓 판매와 상관없이 정해진 금액을 받고 일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많은 기업들에게 찔러보면서 제안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어요. 올해 각 페스티발에서 집계한 관객수가 상당수 뻥튀기 되었어요. 많게는 10배까지도 보고 있는데요. 그 블러핑에 눈먼돈 들이 들어올 가능성은 있어요. 그래서 단번에 거품이 꺼지지는 않을 것 같아요. 
 
박선영 : 오늘은 여기까지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바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ev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