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밀양에서-고향, 농촌, 생태계, 인권은 도시처럼 뚝딱 짓는 것이 아니다.(29호)

2013년 11월 12일culturalaction
[편집자주]밀양 송전탑 그리고 에너지정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현대인은 외부에서 공급된 것에 의존하여 살아간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시스템에 길들여져 살다보니, 인간은 스스로 살아가는 방법을 잃어버렸다. 의, 식, 주, 에너지 등등 현대인은 그 무엇하나 자기 손으로 생산하지 않고, 돈으로 소비한다. 그래서 전력소비도 당연하게 생각하고, 그것을 공급하기 위해 파괴되는 지역의 삶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는다. 한쪽의 소비를 위해, 한쪽의 삶을 파괴하는 것이 아닌, 수도권의 전력소비를 위해, 밀양 할머니들의 일상을 짓밟지 않을 수 있는, 다른 삶, 다른 에너지 시스템을 만들 수는 없을까? 이번 문화빵 29호 특집에서는 밀양에 송전탑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국가폭력과 송전탑 공사를 막고자하는 밀양할머니들의 일상, 그리고 대안적인 에너지 정책은 무엇인지를 다루어 보았다.
① 한전 전기 안 쓰는 게 소원인 밀양 주민들_이유진(녹색당 공동정책위원장)
② 밀양에서_고향, 농촌, 생태계, 인권은 도시처럼 뚝딱 짓는 것이 아니다_(진보넷 벨라)
③ 밀양전(戰), 그리고 밀양전(傳)_이안홍빈

 밀양에서

 

고향, 농촌, 생태계, 인권은 도시처럼 뚝딱 짓는 것이 아니다.

 
 
 
 
진보넷 벨라
 
 
수원에서 토요일 저녁에 출발한 버스는 자정을 넘기고서 밀양에 도착했다. 사람들은 처음에 아랫마을과 윗마을로 나뉘어진지 모르고 아랫마을 회관에 짐을 풀 뻔 했다. 하지만 아랫마을은 공사에 합의를 한 상태였고, 송전탑 반대 운동을 하는 곳은 윗마을 골안마을이라서, 이십여분 쯤 더 걸어 올라가 골안마을 회관으로 이동하여 짐을 풀었다. 그리고 그 곳에서 밤을 보내고 아침식사를 했다. 식사 후 사람들이 농활 갈 준비를 하면서 삼삼오오 모여 이야기를 했다.
 
“어제 아랫마을에 침낭 편 사람도 있대요.”
 
“허허, 그것 참 재빠른 사람이네.”
 
“원래는 아랫마을에 묵어도 되는 거였는데, 송전탑 공사한다고 아랫마을이랑 윗마을이랑 사이가 틀어져서 서로 말도 안하고……. 상갓집 문상도 안한다고 하더라고요…….”
 
밀양의 국가 폭력은 영장없는 연행이나 폭언에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동안 잘 지내오던 마을공동체 파괴로까지 퍼져들어오고 있었다. 농사는 도시에서 1인기업처럼  혼자 맘먹는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때문에 그동안 주민들은 협업하며 잘 지내왔을 터인데, 이젠 마을 사람들끼리 얼굴 마주하기도 데면데면한 사이들이 되어가고 있었다.
 
오전에 바드리농성장에 들렀다. 그간 모니터 평면화면으로 봐오던 정지되어있던 사람들이 움직이고 있었고, 주위 모습이 입체감 있게 내 삶으로, 현실로 들어왔다. 사람들은 농성장을 지키고 있었고, 긴 농성이 지루하지 않게 젊은 청년들이 농성천막 앞에서 밀양아리랑을 부르고 있었다.
 
“고향땅을 지키는게 님비라고~, 전기가 부족하면~ 줄이면 되지~”
 
농성천막에서 바드리 길목으로 나가는 길을 24시간 막고 있는 경찰 청년들 등 뒤로 또래 학생들의 노래가 울려퍼졌다.
 
SONY DSC
 
우선은 더 큰 충돌이 벌어질 것 같지 않음을 확인하고, 나와 박진 밀양인권침해감시단 활동가는 어제 핸드폰을 압수수색 당했다는 주민을 인터뷰하러 이동했다. 마을 주민께서는 감을 손질하고 계셨는데, 무척 분주해 보이셨다. 송전탑 문제 때문에 제 때 감을 수확하지 못해서 1/3은 감꼭지가 갈라져 상품으로 팔기 어렵다는 얘기도 함께 하셨다. 자리를 옮겨 주민 분께서 당한 인권침해 내용을 꼼꼼히 기록했다. 많은 문제가 있었지만, 특히 핸드폰을 압수 당한 당일 경찰의 집행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주민 분께서 핸드폰 압수수색 영장을 확인하면서 뒷장에 자신이 부인했던 혐의가 혐의로 기록되어있는 것을 보고 경찰에게 부당한 내용이라며 알렸는데, 이에 경찰은 “이거 원래 보여주지도 않는 건데, 특별히 보여준 거구만 그렇게 군소리 할꺼면 보지마이소!” 하면서 주민분께서 보고있던 영장을 가져가 버렸다. 게다가 주민 분 팔을 양쪽에서 잡고, 그 사이에 주머니에 있는 핸드폰을 빼앗아 가져갔다. 이런 모습은 농성장에서 영장도 없이 주민 분들을 연행하던 경찰의 태도와 매우 똑같았다. 그리고 증언에 의하면 경찰들은 연좌 농성하는 주민 분들을 공무집행방해죄나, 도로교통법위반죄 등의 위반이라며 들어서 옮기곤 했는데, 이 때 팔을 의도적으로 꼬집거나 꺾고, 바닥에는 내동댕이 쳐, 주로 60세 이상인 주민 분들이 크게 다치는 일이 다반사였다. 이런 증언은 나중에 농성장에서 다른 주민들을 인터뷰 할 때에도 많이 확인 된 내용이었다.   
 
그 뒤로는 농성장으로 돌아와 국가폭력에 희생되고 있는 주민분들을 기록하는 일을 했다. 현장은 경찰의 무법천지였다. “난 법을 모른다”라고 외치는 경찰과, 아무 때나 이뤄지는 사복 채증, 주민들을 향한 폭언, 24시간 이뤄지는 주민들의 통행방해와 감시가 있었다.
 
특히 경찰이 자신의 신분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서 국가권력에 의한 국민들의 인권침해가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지휘를 맡고 있는 경찰들은 작전을 수행할 때 농성하는 주민 분들을 폭력적으로 대하고 있었는데, 이 때는 “경찰이니까, 명령이니까 어쩔 수 없다.” 라는 식의 입장을 취한다. 하지만 이에 사람들이 조금만 언성을 높여서 항의하면 “나도 같은 사람이지 않은가, 기분이 나쁘니 나도 대우를 똑같이 안할 것이다.” 하면서 갑자기 ‘국가권력vs국민’의 구조에서 ‘국민vs국민’의 포지션을 취한다. 
 
또한 경찰이 스스로의 역할 인식이 상당히 왜곡되어 있는 것도 주민 분들의 인권침해에 큰 이유였다. 경찰은 한전의 수행원이 아니라 치안이 본분이다. 아직 한전과 주민들 사이에 원만한 협의가 안됐기 때문에 충돌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고, 때문에 도중에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지 않도록 힘쓰는 것이 경찰의 본분인 것이다. 하지만 밀양의 경찰들은 마치 한전이 고용한 용역깡패를 보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매우 우려스러웠다. 밀양 상황을 보며, 경찰을 비롯한 모든 공무원에게 상부명령보다 인권감수성을 우선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무엇보다 시급해보였다.
 
밀양엔 지금도, 국가폭력이 예전과 전혀 다를 것이 없다. 그간 밀양인권침해감시단이 12번째 보고서를 냈는데 중복되는 내용은 많이 정리하는데도 매번 산더미같은 국가폭력의 실태가 보고된다. 오늘도 여전히 한전과 정부는 국민의 목소리엔 귀막고, 밀양 주민의 희생으로 핵 발전소를 가동시키고자하고 있다. 농성장 앞엔 24시간, POLICE라고 씌어있는 제복을 입은 청년들이 다리 한 번 굽히지 않고 정승처럼 서 있다. 연대하는 사람들은 얇은 비닐 천막 아래에서, 바뀐거라곤 추워지는 날씨 뿐인 곳에서 밤이 지나가기를 기다리고 있다. 오늘도 그 얇은 비닐 천장엔 무심히도 환한 달빛을 받아 반짝거리는 사람들의 숨방울이 눈물방울처럼 맺혀있을 것이다. 그래도 반짝반짝 빛나는 것은 밀양을 지키고자하는 보석같은 순수한 영혼들이 내 뱉은 숨결이기 때문이다. 이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단순하다. 자신의 목소리를 국가가 소중히 받들기를 원하는 것이다. 국가의 권력이 국민에게서 나온다는 원칙을 망각하지 말라는 것이다.

Leave a comment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ev Post Next Post